기후변화센터의 언론보도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보도자료] 기후위기를 ‘나의 일’로, 자원순환으로 청년의 미래를 그리다

2025-10-28

- (재)기후변화센터, 국가녹색기술연구소(NIGT)와 제8회 TALK, TALK! 탄소중립 : 자원순환&그린잡 개최

 

28일, (재)기후변화센터(이사장 최재철)는 국가녹색기술연구소(소장 이상협)와 함께 ‘제8회 톡톡_TALK, TALK! 탄소중립’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청년과 전문가가 기후이슈를 과학적 근거 위에서 논의하는 정기 토크콘서트 시리즈로, “탄소중립 시대, 자원순환이 여는 그린잡의 미래”를 주제로 진행됐다. 이는 자원순환(4R: 감축·재사용·재활용·에너지 회수)을 통해 확장되는 녹색 일자리와 산업 전환의 흐름을 다각도로 조명했다.
 

행사는 최지원 기후변화센터 사무국장의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기후기술·소재·사회혁신·기후기업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해 각자의 시각에서 자원순환과 산업, 일자리의 연관성을 심층적으로 다뤘다.

 

김태건 국가녹색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은 기후위기가 산업 구조뿐 아니라 일자리의 의미 자체를 바꾸고 있다며, 전과정평가(LCA)와 자원순환 기획 등 기술과 환경을 아우르는 융합 역량이 청년세대의 핵심 경쟁력이 될 것이라 강조했다.

 

오동엽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EU의 포장재 규제(PPWR), 생산자책임재활용제(EPR),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을 예로 들며 “탄소를 저장하는 소재가 경쟁력인 시대”가 도래했다고 짚었다. 또한, 자원순환 기술과 소재 혁신이 앞으로 청년들이 진출할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의 중심축이 될 것이라 전망했다.

 

이은애 환경혁신가는 “자원순환은 기술이 아닌 협업의 구조를 설계하는 일”이라며, 기술·디자인·사회적 연대를 잇는 협력이 순환경제를 완성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버려진 것의 끝을 다시 시작점으로 바꾸는 시선이 청년의 새로운 커리어가 된다”고 강조했다.

 

양승찬 ㈜스타스테크 대표이사는 불가사리 유래 소재를 활용한 친환경 제설제 ‘ECO-ST’ 사례를 통해, 폐기물 속에서도 기후 해법과 일자리를 만들 수 있음을 소개하며, “기후 대응은 곧 혁신의 기회이며, 그 기회를 실현할 주체는 청년들”이라고 말했다.

 

강연 후에는 연사와 청년 참가자들이 함께 자원순환 분야의 커리어와 창업, ESG 실무 역량 등을 주제로 심층 토론을 이어갔다. 참가자들은 “자원순환은 더 이상 환경의 문제가 아니라 미래 산업의 언어이자 새로운 직업의 언어”라며 공감대를 형성했다.

 

기후변화센터는 이번 공론장은 청년들이 기후문제를 ‘나의 일’로 받아들이고 지속가능한 커리어를 설계하는 소통의 장이 되었으며, “앞으로도 자원순환과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산업과 일자리 전환의 기회로 확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파트너십과 논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전글/다음글 안내
이전글 [보도자료] 메탄감축, NDC 1%의 열쇠이자 기업 경쟁력의 분기점으로
다음글 [보도자료] 기후변화센터, 제15회 기후변화 그랜드 리더스 어워드 개최